간지론강의(기초)

10강. 육친(六親)

우인의 굴렁쇠 2016. 10. 16. 23:16

10. 육친(六親)

일간(日干)이 자신이다. 육친은 일간과 나머지 7글자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육신(六神), 십신(十神) 이라고도 한다. 일간을 중심으로 10천간과 12지지를 의인화 시키는 작업이라고 하겠다.
육친은 기초부분에서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부분이므로 육친의 분류를 정확히 이해하시고 직접작성 해 보는 연습을 해야합니다.

□ 육친의 분류
비견(比肩) 자기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것
겁재(劫財) 자기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것
식신(食神) 자기가 생하고 음양이 같은 것
상관(傷官) 자기가 생하고 음양이 다른 것
편재(偏財) 자기가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것
정재(正財) 자기가 극하고 음양이 다른 것
편관(偏官) 자기를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것
정관(正官) 자기를 극하고 음양이 다른 것
편인(偏印) 자기를 생하고 음양이 같은 것
정인(正印) 자기를 생하고 음양이 다른 것

예를들어서, 甲(木) 일간과 12지지와의 육친을 분류한다면 아래와 같다.

寅은 일간과 오행(木)이 같고 음양이 같으므로 ----비견(比肩)
卯는 일간과 오행(木)이 같고 음양이 다르므로 ----겁재(劫財)
辰은 일간(木)이 극하고 음양이 같으므로 --------편재(偏財)
巳는 일간(木)이 생하고 음양이 같으므로 --------식신(食神)
午는 일간(木)이 생하고 음양이 다르므로 ------- 상관(傷官)
未는 일간(木)이 극하고 음양이 다르므로 ------- 정재(正財)
申은 일간(木)을 극하고 음양이 같으므로 ------- 편관(偏官)
酉는 일간(木)을 극하고 음양이 다르므로 ------- 정관(正官)
戌은 일간(木)이 극하고 음양이 같으므로 ------- 편재(偏財)
亥는 일간(木)을 생하고 음양이 같으므로 ------- 편인(偏印)
子는 일간(木)을 생하고 음양이 다르므로 ------- 정인(正印)
丑은 일간(木)이 극하고 음양이 다르므로 ------- 정재(正財)

□육친의 상생과 상극
1. 상생법
비견, 겁재는 식신, 상관을 생한다.
식신, 상관은 편재, 정재를 생한다.
편재, 정재는 편관, 정관을 생한다.
편관, 정관은 편인, 인수를 생한다.
편인, 인수는 비견, 겁재를 생한다.

2. 상극법
비견, 겁재는 편재, 정재를 극한다.
편재, 정재는 편인, 인수를 극한다.
편인, 인수는 식신, 상관을 극한다.
식신, 상관은 편관, 정관을 극한다.
편관, 정관은 비견, 겁재를 극한다.

□ 육친의 가족관계
1. 비견은 남,녀를 불문하고 형제, 친구, 조카를 의미한다.
2. 겁재는 남자에게는 이복형제, 나쁜친구, 여자에게는 남편의 첩이나 이복형제를 의미한다.
3. 식신은 남자에게는 장모, 부하직원, 사위, 여자에게는 아들을 의미한다.
4. 상관은 남자에게는 처갓집, 손녀, 여자에게는 딸을 의미한다.
5. 편재는 남자에게는 아버지, 첩, 여자에게는 시어머니, 아버지를 의미한다.
6. 정재는 남자에게는 아내, 여자에게는 시가집, 숙부, 고모를 의미한다.
7. 편관은 남자에게는 아들, 여자에게는 남자, 애인을 의미한다.
8. 정관은 남자에게는 딸, 자식, 여자에게는 남편을 의미한다.
9. 편인은 남녀를 불문하고 계모, 유모, 이모를 의미한다.
10. 인수는 남녀를 불문하고 어머니를 의미한다.

□ 육친의 해석
1. 비견(比肩)
자존심이 강하고 타인의 지배나 간섭 받기 싫어하며 남에게 지는 것을 싫어하는 성격이다. 융통성이 없는 고집쟁이로 남의 의견을 무시하는 경향도 있다.
2. 겁재(劫財)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강한 성정을 가져서 모험으로 대성하는 사람도 있다. 비견과 마찬가지로 자존심이 강하며 비견이 양성적이라면 겁재는 음성적이다.
양일간(陽日干)이 지지에 겁재가 있으면 양인(羊刃)이라하여 독선적이거나 권위적인 성격이 더욱더 두드러지고 자기 본위적인 사람이다.
3. 식신(食神)
예술적인 면에서 다양한 재능을 가지며 다재다능하다.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면이 있어 먹고 마시기를 좋아하며 향락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현실위주와 실리를 추구하는 정도이다.
몸이 비대하고 풍만한 것도 특징으로 젊었을 때는 말랐던 사람이 중년부터 갑자기 살이 찌는 경우가 많다.
4. 상관(傷官)
두뇌가 명석하고 감정이 예민하여 예술방면에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말이 좀 많거나 비판적이며 아무 일에나 나서서 관여하기를 좋아하고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남을 이기려고 하는 성격이다. 천재성을 가진 동시에 엉뚱한 면을 갖고 있으며 공상가나 비평가가 많다.
5. 편재(偏財)
여자와 금전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외교성과 사교성이 좋은 반면에 풍류와 낭비벽이 심한 것이 단점이다.
6. 정재(正財)
정재는 성실과 안정 그리고 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으로 정의감이 강하고 봉사정신이 남달라 남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성실형이다.
7. 편관(偏官)
의협심과 투쟁심이 강하고 보스적인 기질이 있다. 강자에게 대항하고 약자를 돕는 성격의 소유자이다.
8. 정관(正官)
모범적인 사람으로 용모가 단정하고 정신이 준수하다. 재물보다 명예를 중히 여기고 편법을 싫어하는 원리원칙주의자다.
9. 편인(偏印)
사교성이 결핍되고 즉흥적이며 주관성이 없다. 머리 회전이 대단히 빨라 임기웅변의 명수이기도 하며 눈치가 빠르고 만능재주꾼이며 팔방미인이다.
10. 정인(正印)
학자와 선비형으로 자존심이 강하고 집중력이 좋은 반면에 의지하려는 마음이 많아 결정력이 부족한 점이 있다.

육친의 분류와 가족관계는 충분한 이해와 암기가 필요하고 어려운 부분인 만큼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육친을 정확하고 능숙하게 숙달 시켜야만 사주 감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바랍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