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강. 사주분석방법
1강. 사주분석방법
이제 사주풀이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주분석방법이란 사주를 보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는데 무엇을 사용하여 사주를 볼 것인가를 결정 짓는 아주 중요한 수단을 말합니다.
사주를 보는 방법은 음양오행, 육친, 근묘화실, 12운성, 격용론, 신살론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격용론은 파격(破格)사주에 대한 한계로 인하여 10정격은 참고를 하지만 나머지 부분(특수격)들은 사용하지 않으며 신살론은 적중률이 미약할뿐만아니라 단식판단법이므로 현실에 맞지 않아 사용을 하지 않습니다.
사주분석에서 주의할 점은 단식판단입니다. 신살론을 예로들자면 도화살이 있으면 호색하고 역마살이 있으면 돌아다니기를 좋아한다고 판단합니다. 이러한 단식판단은 적중률이 매우 떨어질 뿐더러 간지론에서 주장하는 복식 판단법에 맞지 않습니다.
간지론에서는 기본적으로 근묘화실을 적용하고 육친변용법 그리고 오행과 육친의 많고 없고 마지막으로 12운성을 적용합니다. 이 정도만 구비해도 사주를 감명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습니다. 지장간은 당연히 살펴봐야 하고 합,충,형은 좋고 나쁨이 아닌 간섭인자로서 해석을 합니다.
근묘화실은 년, 월, 일, 시에 위치하고 있는 육친을 보고서 시기별로 사주를 감명하는 방법이고 육친변용법은 해당 육친이 있어야 할 자리에 있는지, 반대되는 육친이 있으므로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감명하고, 오행과 육친의 많고 없고를 보는 이유는 사주의 강함과 약한 부분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장,단점을 판단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리고 12운성은 각 육친의 과거, 현재, 미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사주에 있는 육친이 어느 상태에 놓여 있나 세운에 대입하여 보겠습니다. 甲일간이 辰을 편재로 사용할 경우 辰을 천간화하면 戊가 되고 戊는 丙과 같은 12운성이므로 寅에 장생하고 卯에 목욕, 辰에 관대, 巳에 건록, 午에 제왕, 未에 쇠, 申에 병입니다. 올해가 丙申년이므로 병에 해당하고 내년과 다음해는 더욱 편재가 약화된다고 해석합니다.
결국 사주분석방법은 선택의 문제이고 간지론에서 활용하고 있는 근묘화실과 육친변용법 그리고 물상론등은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야되는지에 대하여 올바른 방향과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초부분에서 가장 중요시하였던 22간지를 통한 물상론은 중급, 고급 과정으로 들어갈수록 더욱 필요성을 느끼게될 것입니다. 다시한번 기초부분의 물상론을 살펴 봐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수고 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