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론강의(중급)

6강, 육친론(六親論)

우인의 굴렁쇠 2016. 11. 17. 16:34

6강. 육친론(六親論)

육친의 확장과 변용이란 육친을 인간관계에서 다른 물상이나 학문등으로 확장하고 시기에 따라서 해당 육친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말합니다.
육친론에서 주의할 점은 육친의 상생과 상극의 관계에 빠지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재성이 관성을 생한다는 상생원리를 22간지에서 그대로 적용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격각이나 삼합에 의하여 운동성의 방향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육친의 상생과 상극의 작용은 언제 사용하는가? 라는 의문점이 생기겠지만 이미 근묘화실에서 해당 육친이 있어야할 자리에 있는지 다른 육친이 있을 경우 극을 당하여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공부를 하였고 대운이나 세운에서 극을 당하는 반대편 육친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육친의 상생과 상극의 법칙을 적용합니다

□ 육친의 내용
1. 비견
비견은 형제나 친구와 같이 나와 성격이 비슷하고 나에게 힘을 주는 기운이므로무엇을 하더라도 자신감이나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남에게 지는 것을 싫어하고 자존심이 강하고 여자는 사회성이 강하여 사회활동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재성을 극하므로 금전인연은 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겁재
겁재는 비견과 비슷하지만 음양이 다르고 숨어있는 속마음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 나타나 있는 비견보다 오히려 더 강렬한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모험과 투기를 좋아하여 대성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특히 양일간의 경우 월지에 겁재가 있으면 양인격이라고 하여 특수한 기술이나 재능으로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강한 힘을 의미합니다.
3. 식신
식신은 재능의 별이라고 하여 다재다능하지만 투쟁심이 약하고 낙천적이라고 합니다. 남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성격이여서 인기가 많고 사람들의 호감을 받는다고 합니다.
직접 만들어서 파는 제조, 생산업에 적합하므로 밥장사를 연상하면 되겠습니다.
4. 상관
상관은 천재성을 가지므로 공상이나 상상을 많이하게 되고 정관을 극하므로 자기마음대로라고 합니다.
식신이 일반적인 경우라면 상관은 특수한 경우로서 밥장사보다는 커피, 빵, 담배같은 기호식품을 취급하는 일을 하면 잘 된다고 합니다.
5. 편재
재산이 한쪽으로 치우칠 경우 큰 돈, 사업, 투자, 도박, 여자, 술 등과 가까이 하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돈을 잘쓰고 남의 돈으로 사업을 일으키고 여자문제도 발생할 수 있고 돌아다니기를 좋아하고 말도 잘한다고 합니다.
6.정재
육친에서 말하는 정(正)이란 음양의 배합이 바르게 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편(偏)이란 음양이 한 쪽으로 치우쳐 편중(偏重)되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정재는 재물이 균형을 이루는 모습으로 모든 면에서 적당하고 성실하고 믿음이 있어 보입니다. 공부도 적당히, 생활은 검소하게, 사업은 성실하게, 인간관계는 믿음직하게, 용모는 단정하게 이런 부류들이 정재의 성격이랍니다.
7. 편관
편관은 정관과 달리 직접적으로 나를 극하는 기운을 말합니다. 그래서 급성질환이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편관의 성격은 자만심이 강하고 자기중심적이며 감정이 격하고 과시하기를 좋아한다고 합니다.
8. 정관
정관은 원리원칙주의를 말합니다. 법이요, 규정이요, 약속이요, 명예요, 정사각형의 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준법주의자이므로 법을 잘 지키고 돈 보다 명예를 우선으로 여기며 거짓말을 하지 않는 성격을 말합니다.
9. 편인
계모, 이모, 유모 밑에서 자라면 눈치, 재치, 순발력, 머리회전도 빠를 것입니다. 따라서 사교성이 결핍되고 즉흥적이며 주관성이 없다고 합니다. 변덕스럽고 변태적이며 삐뚫어진 성격의 소유자가 많고 만능 재주꾼이며 팔방미인이지만 배신을 잘 한다고 합니다.
편인을 잡학이나 기술 같은 특수학문으로 확장한다면 인성은 공식적인 학문, 알아주는 학문, 학위나 자격증 등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10. 정인
인성이라고하면 먼저 어머니와 공부를 떠오르게 합니다. 따라서 자존심이 강하고 집중력이 좋을 것이고 치밀한 계획을 잘 세울것입니다.
반면에 의지하려는 마음이 많아서 매사에 결정력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 육친의 원리
사주는 크게 상업인 사주와 직장인 사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상업인 사주는 식상과 재성이 같은 짝이되고 직장인 사주는 인성과 관성이 같은 짝이됩니다.

식상은 돈을 벌 수 있는 기술과 재능으로서 자재를 의미할 수 있고 재성은 점포로서 돈을 말합니다. 그래서 재산복이 있는지 여부를 볼 때는 식상이 재성을 돕고 있는지 여부를 살핍니다.

인성은 전공이고 관성은 직장입니다. 직장인 사주가 출세하기 위해서는 인성이 관성을 도와야 합니다. 그래서 인성과 관성은 같은 짝이라고 합니다.
만약 식상과 관성이 같은 짝이 된다면 식상이 관성을 극하므로 아랫사람이 나를 극한다고 해석합니다.

□ 운에서의 육친적용법
아무리 좋은 사주를 가지고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운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소용이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사주와 운의 관계를 3대 7로 이야기 합니다.

재성운이라고 하여 모두 돈을 벌게되고 관성운이라고 하여 모두 직장에서 승진이나 출세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재성운이 초년에 들어오면 학마재라고 하여 학업을 중단한다고 합니다. 이처럼 시기에 따라서 재성운도 좋은 경우가 있고 나쁜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나이에 따른 육친 변용법이라고 합니다.
재성운은 젊을 때 상업사주에게 좋은 것이지 늙어서 오면 오히려 짐이되고 건강에 좋지 못하고 너무 어릴적에 온다면 학문에 방해가 된다고 해석합니다.

공직자나 직장인에게는 인성운이 와야 승진도 하고 좋을 것인데 반대로 재성운이 온다면 인성을 극하므로 불리하게 될 것이고 상업인에게는 식상운이 와야 좋을 것인데 인성운이 온다면 식상을 극하게되므로 제조, 생산을 못하게 되고 유통업을 하여야 할 것입니다.

대운에서는 그 반대편을 잘 살펴야 합니다.
비겁대운이 오면 장기간 재성을 극하므로 유통업을 못할 것입니다.
식상대운이 오면 직장이나 명예에 좋지 않을 것이고 직장을 그만 두는 일도 생길 수 있습니다.
재성대운이 오면 인격에 흠이 가는 짓을 할 것이고 임대업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관성대운에서는 정관운은 괜찮아도 편관운은 나를 직접 극하므로 급성질환이나 교통사고, 관재, 구설같은 좋지 못한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인성대운이 오면 식상을 극하므로 제조, 생산업이 타격을 받을 것입니다.

큰 흐름으로서 발전이나 쇠락은 대운에서 결정이 되고 세운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사고들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달리는 자동차를 육친으로 확장해 본다면 식신은 가속기, 상관은 터보기능, 인성은 브레이크, 편인은 주차장, 정재는 연료, 편재는 무거운 짐, 정관은 신호등, 편관은 경찰관, 비겁은 배기량이라고 합니다.
물상확장에 대하여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