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론강의(중급)

8강. 12운성(十二運星)

우인의 굴렁쇠 2016. 11. 21. 22:11

8강. 12운성(十二運星)

이번에는 12운성(十二運星)을 사용하여 사주를 감명하는 방법입니다.

12운성은 포태법이라고도 하며 천간과 지지의 상호관계를 살펴 볼 수 있고 천간의 生老病死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감명법입니다.
12운성을 일간에 적용하는 것은 강약을 참고할 수준이며 대운에 적용도 약하지만 세운에 적용하면 작용력이 매우 크다고 합니다.
육친으로 재성이나 관성을 대입하여 관찰하면 해당 육친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쓰이므로 사용법을 반드시 숙지하셔야 됩니다.

천간과 지지의 관계를 확인하는 방법은 천간이 지지에 뿌리를 내렸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천간이 지지 년, 월, 일, 시, 자리에 관계없이 生, 浴, 帶, 官, 旺에 해당하는 기운을 가지고 있으면 뿌리를 내린 것으로 봅니다.

0 甲 0 0
0 子 0 0

이와같은 경우 12운성으로 子는 甲의 욕(浴)지가 되고 생, 욕, 대, 관, 왕은 성장해 가는 단계이므로 뿌리가 내렸다고 봅니다.
뿌리가 내렸다는 말은 생각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말이고 死, 墓, 絶에 해당하는 기운을 가지고 있다면 천간이 지지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였기 때문에 생각 자체를 실현하기 어렵다고 보는 것입니다

육친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원칙적으로 음,양을 구분하지 아니하고 오행의 12운성을 적용하여 감명하고 예외적으로 음양을 구분하여 적용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5행의 12운성이란 남,여, 양간, 음간, 구분하지 아니하고 모두 양간의 12운성으로 순행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12운성은 천간으로만 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지에 있는 육친은 천간화 시켜서 대입을 하면 됩니다.

시 일 월 년
壬 乙 戊 壬
午 未 申 寅

이 명조의 경우 월지 申금을 관성으로 사용하고 있고 申을 천간화 시키면 庚금이 되고 12운성에 대입하여 금년(丙申)의 직장운을 본다면 巳, 酉, 丑 3합으로 쉽게 건록(建䘵) 지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육친을 이런식으로 포태법에 적용시키면 알고자 하는 시기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합은 12운성을 함축한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고 12운성을 빨리 알아보기 위해서는 삼합을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12운성은 生 浴 帶 官 旺 衰 病 死 墓 絶 胎 養으로 진행되어 갑니다. 여기서 생, 욕, 대, 관, 왕은 성장해 가는 단계를 말하고 쇠, 병, 사, 묘, 절은 시들어 가는 운을 뜻합니다. 태와 양은 보이지는 않지만 잉태가 되어 자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2운성을 적용할 때는 대운과 세운을 잘 살펴서 감명을 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癸巳 일주가 巳세운에 子대운이라면 재성인 丙이 대운 子에 胎지에 들고 세운 巳에 建䘵지가 되므로 대운은 금전운이 점차 좋아지는 방향이고 세운은 현재 좋은 운에 속한다고 감명할 수 있습니다.
대운이 나쁘면 세운이 아무리 좋아도 결국 망합니다. 대운이 좋으면 세운이 아무리 나빠도 부도는 안 납니다.

12운성을 활용하여 사주를 감명하는 방법을 모르고서는 절대 해당 육친의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하셔야됩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