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론강의(중급)

9강. 격국론(格局論)

우인의 굴렁쇠 2016. 11. 24. 15:51

9강. 격국론(格局論)

사주를 감명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간지론은 격국용신론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목적으로 고전(古典) 에서 묻혀져 있던 감명법을 가장 최근에 다시 도입한 학문입니다. 격국론이 오류가 많고 잘 맞지 않아서 그 대안으로 간지론이라는 감명법을 연구, 발전 시켜왔지만 격국론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닙니다. 10정격(十正格)은 사용을 합니다. 따라서 10정격에 대하여는 숙지를 해야할 필요성이 있고 입격된 사주를 감명할 때에 활용하시면 편리하겠습니다.

격(格)을 정하는 방법은 일간을 대비하여 월지에 있는 글자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정하여 집니다.
첫째 월지가 子 午 卯 酉 일 때는 지장간의 정기를 따라 해당 육친으로 격을 정합니다.
0 甲 0 0
0 0 午 0
이와같은 경우 상관격이 되는데 사주에 합,충,형이 있으면 파격이 되어 입격이 되지 않습니다.

둘째 월지가 寅 申 巳 亥 일 때는 지장간에서 천간에 투간 된 자로 정하되 정기가 투간되어 있으면 정기로 격을 정하고 없으면 중기, 여기 순으로 투간 되어 있는 천간으로 정합니다.
0 甲 0 0
0 0 寅 0
이와같은 경우 寅의 지장간(戊, 丙, 甲) 중에서 甲이 투간되어 있으면 건록격, 丙이 투간되어 있으면 식신격, 戊가 투간되어 있으면 편재격이 됩니다. 모두 투간되어 있지 않을 경우 파격이 됩니다.

셋째 월지가 辰 戌 丑 未 일 때는 寅 申 巳 亥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하는데 천간에 투간된 자 중에서 재성, 관성만을 사용합니다. 재성이나 관성이 투간되면 잡기재격, 잡기관격이라고 부릅니다.

정관격(正官格)은 일간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다른 것을 말합니다.
0 甲 0 0
0 0 酉 0
월지에 정관이 있는 것으로 격 중에서 가장 좋은 격으로 보며 편관, 상관이 없고 1개의 정관만 있는 것이 최상입니다.
정관은 나를 극하므로 신왕을 좋아하며 장남이 많고 대체로 지도자의 길로 간다.
일주가 약하거나 충, 공망이 되면 변변치 못한 직장생활을 한다.
정관은 인성이 있어서 관인 소통이면 지도자 길이 순조롭다.
여자는 본인이 지도자이거나 남편이 지도자격이며 전형적인 주부도 많다.
정관을 충하는 대운이나 세운에는 반드시 직장이나 명예에 변동이 생긴다.
편관이 있으면 관살혼잡이 되어 항상 고생이 많고 운에서도 편관이 오면 질병을 앓거나 근심고통이 생긴다.
남자는 관성이 없으면 준법정신이 없어 자기 멋대로 행동하며 여자는 예의범절이 없다고한다.
인성이 없으면 승진에 문제가 있어 관리자로 성공하기 어렵다.
정관이 거듭하여 있거나 편관이 섞여 있어도 격이 탁해진다.

편관격(偏官格)은 일간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합니다.
0 乙 0 0
0 0 酉 0
편관은 호랑이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타협하는 방법으로 인성이나 식상이 있으면 권세가가 된다.
편관을 극하는 식신이 있으면 귀격으로 본다.
식상이 편관과 함께 있으면 특수기관, 언론, 방송, 법무 등에 종사한다.
식상이 편관을 쉽게 제어하면 선거에 의한 명예나 국회의원이 되는 선출직 명예를 얻는다.
비겁이 편관과 합하면 무관이나 스포츠 선수가 된다.
인수가 편관을 소통시키면 공학, 세무, 교도직 등 특수직에 종사한다.
편관과 편인이 있으면 교육, 언론, 방송에 종사한다.
여자의 경우 간섭이 심한 남편을 만나거나 행동을 불편하게 하는 남편을 만나기 쉽다.
식신은 반드시 하나만 있어야 한다.

정재격(正財格)은 일간이 월지를 극하고 음양이 서로 다른 글자를 말한다. 정재는 편재와 혼잡을 꺼리지 않는다.
0 丙 0 0
0 0 酉 0
정재는 자기 분수를 알고 부모로부터 정당한 혜택을 입고 재물과 가권의 상속이 있다.
구두쇠적인 기질을 가지고 계획적인 경제활동을 한다.
안정된 직장을 선호하며 소년기에 학문에 장애가 생길 수도 있는데 편재보다는 약하여 기본적인 학문은 이루는 것으로 판단한다.
투기심이 약하고 돈이 없으면 짜증도 심하다.
대운이나 세운에서 정재를 충하면 고통이 심하게 나타난다.
상속으로 인한 가업의 계승으로 사업에 인연이 가능하다.
정재는 사업성이 약하여 평생 공직이나 안정된 직장인으로 생활하게 된다.
정재는 관성을 생하므로 명예를 이루기 쉽고 평생 금전 복이 있다.
일간이 왕하고 재성이 왕하면 갑부사주가 된다.

편재격( 偏財格)은 일간이 월지를 극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한다.
0 辛 0 0
0 0 卯 0
편재는 학문을 방해하므로 소년기에 여자문제나 금전문제로 학문의 중단은 필수에 가깝다.
일주가 강한 경우 평생 사업에 큰 재물을 지니게 된다.
관성이 드러나 있으면 금융, 회계, 서무 등과 인연이 많다.
운에 따라 파란만장한 삶을 사는 사람이 많다.
남자의 경우 사업성이 강한 부인을 만난다.
여자의 경우 남편집이 부자이거나 사업가를 만날 수 있고 본인도 사업을 좋아하며 도덕성이 없는 짓을 잘 한다.
일주가 약하면 부잣집에 가난한 사람이라 부잣집에 시집가도 자신의 권리 행사를 하기가 어렵다.

정인격(正印格)은 일간을 생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다른 글자를 말한다.
0 甲 0 0
0 0 子 0
정인(인수)은 학문을 의미하니 평생 글과 학문을 떠나지 않는다.
인수는 관운을 만나면 반드시 사회적으로 성공하며 시험에 합격한다.
인내심과 도덕심의 별이니 도덕관념이 강하고 참고 견디는 힘이 남달리 강하다고 한다.
가권의 계승자가 되고 주로 문서재산 형태의 상속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남녀모두 배우자 인연이 박하다.
현금재산의 인연이 약하고 평생 부모 혜택으로 안락하게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강하고 교육사업, 임대사업과 같은 움직임이 없는 사업이 제일 잘 맞다.
인수가 많고 관이 부족하면 글 읽는 선비로 일생을 살아간다.
인성이 많으면 남녀가 자식이 적고 여자는 유산을 잘 한다.

편인격(偏印格)은 일간을 생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한다. 편인은 식신을 극하는 육친으로 많으면 의식주가 곤궁하다.
0 乙 0 0
0 0 子 0
학문과 인연하여 직업을 삼으나 기술적인 학문의 성향을 갖는데 예를들면 의약, 공학, 전문기술 등의 학문이 많다.
가권의 계승이 좋지 못하거나 현금이 아닌 문서 형태의 상속이 대체적으로 많다. 편인은 계모의 별이라서 매사에 눈칫밥을 먹고 살아 눈치가 매우 빠르다.
일생이 편중되게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남자의 경우는 좋은 배우자 인연을 만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여자의 경우는 좋은 자녀를 두는 경우가 드물다.
전문직이나 기술직에 직업을 갖고 살아가는 동안에 큰 어려움이 없겠고 종교, 예술, 의학, 천문학 등에 소질이 많다.
편재를 꺼려서 일생에 고단함이 많다.
편인과 인수는 작용력이 비슷하다.
편인격은 편재운이나 식신운에 좋지 않은 일이 발생한다.

식신격(食神格)은 일간이 월지를 생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가 해당된다. 사주에 정재나 편재가 있어야 길명이 된다.
0 乙 0 0
0 0 午 0
식신은 천연적인 의식주 혜택을 의미하므로 평생에 의식주 걱정이 적고 부모의 혜택도 매우 많다.
식신은 성질상 일주를 약화시키므로 일주가 강함을 좋아한다.
두뇌가 총명하고 몸이 비대하고 도량이 넓고 이해심, 동정심, 자비심도 많다.
식신은 편관을 제어하므로 수명을 길게 이어나가는 것으로 장수인자가 된다.
대체로 사업 인연이 많고 제조 생산 등 정당한 재물생산 수단을 통하여 금전을 모은다.
식신이 충되어 있으면 밥그릇을 들고 뛰어야 하는 형상이라 역마성 직업에 종사하면 좋다.
여자는 식신이 잘 생기면 출세하는 자식을 둔다. 인성운을 만나는 것을 꺼린다. 사주에 인성이 함께 있으면 빈천하다.

상관격(傷官格)은 일간이 월지를 생하고 음양이 다른 글자가 해당된다. 상관을 인성이 제압할 때 상관상진이라고 하여 최고로 본다.
0 甲 0 0
0 0 午 0
일주가 왕성하여 상관을 중요하게 쓸 때 가상관 격이라 한다.
상관격이 이루어지고 다른 육친을 중요하게 쓸 때에는 진상관 격이라 한다.
필설의 능력, 예술, 스포츠 등에 재능이 많다.
비상한 재주, 창조, 혁명, 두뇌가 비상하고 천재성을 가진다.
여자는 남편운이 약하거나 비정상적인 관계로 부부인연을 맺고 평생 활동적이다. 상관격은 길흉을 논하기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자신감이 넘쳐 교만하고 경솔하며 상대방을 이기려는 경향이 많다.

양인격(羊刃格)은 일간과 월지의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글자가 해당된다. 양 일간일 때만 사용한다.
0 甲 0 0
0 0 卯 0
양인과 편관이 합이 되면 법관, 무관 의사, 등이 많다.
부모로부터 상속을 받기가 어렵고 현금유산을 받더라도 40세 이전에 받으면 반드시 없어지고 문서재산이면 지켜지는 것이 큰 특징이다.
대운이나 세운에서 양인을 충하면 그 화가 매우 심하다.
거듭하여 비견, 겁재가 있는 경우 남자는 처의 건강이나 서로의 인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여자는 소실이나 첩 자리에 시집을 가야 애로가 없다.
남녀 모두가 배우자 인연이 좋지 못하다.
음일간은 양인격을 사용하지 않는다. 형, 충 공망을 꺼리고 합과 재성운도 꺼린다. 칠살과 양인 합살격이 최상의 격이 된다.

건록격(建䘵格)은 일간과 일지가 같은 오행이고 음양이 같은 글자가 해당된다. 조상의 은덕을 입기 어려운 점이 있다.
0 乙 0 0
0 0 卯 0
공직사회에 인연이 많고 만인의 지도자를 꿈꾼다.
사업을 하더라도 명예와 관련된 직업을 가져보고 사업 길로 들어선다.
부모의 혜택이 적고 받더라도 40세 이후에 받는 것이 좋다.
재성이 약하면 교육, 종교, 지도자로 산다.
남녀 모두 부인 인연이 늦고 자식은 출세한 자식을 둔다.
대운이나 세운에서 충을 하면 그 화가 매우 크다.
격이 맑으면 공직에서 높은 자리까지 인연하게 되지만 공망, 충, 파, 형을 만나면 격이 떨어지므로 낮은 공직이나 공사에 근무한다.
재, 관운을 만나야 부귀공명한다. 약간 신약한 것이 건록격은 좋다고 본다.

간지론에서는 신약, 신강을 구분하지 않고 용신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