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강. 오행(五行)
2. 오행(五行)
□ 오행의 의미
오행은 시간의 흐름을 말합니다. 음양이 하루라면 오행은 봄(木), 여름(火), 가을(金), 겨울(水), 사계절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중앙에 土가 있는데 토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문제지요?
우주는 무극의 상태에서 음양으로 분화하였고 음양이라는 하루가 다시 오행이라는 사계절로 분화가 되었는데 양은 봄(木), 여름(火)을 뜻하고 음은 가을(金), 겨울(水)을 뜻합니다. 그리고 토는 양과 음을 연결하는 작용을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토는 계절적 성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계절과 계절을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결국 오행이란 하루라는 음양이 사계절이라는 오행을 지나가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 오행의 특성
1. 목(木)
목을 곡직(曲直)이라고 하여 굽고 곧은 것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나무의 생장 형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속성을 가진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목은 계절로는 봄이고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아침이고 사람의 일생으로 본다면 소년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목의 특성은 솟구치는 힘, 의욕, 희망, 성장, 시작, 리더쉽,어질고 착한 성정을 가지고 있다.
2. 화(火)
화를 염상(炎上)이라고 하여 뜨겁고 상승하는 모습을 의미하며 뜨겁게 솟아오르는 속성을 지닌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화는 계절로는 여름이고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한낮의 활발한 움직임을 뜻하고 사람의 일생으로 본다면 청년기의 열정이라고 볼 수 있다.
화의 특성은 불같은 성격으로서 확산하고 펼치는 기운, 밝고 명랑하고 예의바른 성정을 가지고 있다.
3. 토(土)
토를 가색(稼穡)이라고 하여 씨앗을 뿌리고 농작물을 거두어들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기르고 수납하는 속성을 지닌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토는 계절의 성격을 갖는 것보다 중계적인 역할을 한다. 뒤에 설명하겠지만 12운성에서 보면 토는 화와 함께 같은 방향과 주기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으며 12지지에서 보면 계절의 끝에서 연결하고 수렴하는 작용을 하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4. 금(金)
금을 종혁(從革)이라고 하여 순종과 변경을 의미하며 변혁과 하강의 특징을 가진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금은 계절로 보면 가을이고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저녁을 뜻하고 사람의 일생으로 본다면 장년기의 원숙함을 볼 수 있다.
금의 특성은 맺고 떨어뜨리는 기운으로서 결단력과 의리, 의협심, 용기 등의 성정을 가지고 있다.
5. 수(水)
수를 윤하(潤下)라고 하여 습하고 아래로 흐른다는 의미로 습하고 아래로 흐른다는 속성을 가진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수는 계절로는 겨울이고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한밤중의 수면상태를 뜻한다. 사람의 일생으로 본다면 노년기의 휴식상태로 볼 수 있다.
수의 특성은 모으는 성질이 강하고 지혜, 총명, 인내력, 번식력, 휴식 등의 성정을 가지고 있다.
□ 오행의 물상분류
1. 목(木)
섬유, 의류, 문구, 목재, 간판, 커텐, 표구, 가구, 청과, 종묘, 합판, 주방기구, 종이, 제지, 서적.
2. 화(火)
통신, 전자, 방송, 문화, 사진, 카메라, 반도체, 정유, 가스, 음악, 학원, 영상, 화학, 공학, 전화.
3. 토(土)
건축, 토건, 설비, 부동산, 숙박, 창고, 공예, 석재, 기와, 도자기, 축산, 화물, 주차장, 수련원, 농사.
4. 금(金)
금, 은, 시계, 보석, 기계, 공구, 공업, 금융, 체육, 광업, 금속, 총포, 철강, 증권, 철물, 건전지.
5. 수(水)
유흥, 해운, 여행, 식품, 물류, 통상, 유통, 교역, 주류, 수산, 수도, 속옷, 목욕, 냉동, 생선, 화장실.
□ 오행의 상호작용
오행의 상생
목생화(木生火) 목이 화를 생하고 화는 금이 목을 극하는 것을 막아준다.
화생토(火生土) 화가 토를 생하고 토는 수가 화를 극하는 것을 막아준다.
토생금(土生金) 토가 금을 생하고 금은 목이 토를 극하는 것을 막아준다.
금생수(金生水) 금이 수를 생하고 수는 화가 금을 극하는 것을 막아준다.
수생목(水生木) 수가 목을 생하고 목은 토가 수를 극하는 것을 막아준다.
2. 오행의 상극
목극토(木剋土) 목이 토를 극하고 토는 수를 극하여 수가 목을 돕는 것을 막는다.
토극수(土剋水) 토가 수를 극하고 수는 화를 극하여 화가 토를 돕는 것을 막는다.
수극화(水剋火) 수가 화를 극하고 화는 금을 극하여 금이 수를 돕는 것을 막는다.
화극금(火剋金) 화가 금을 극하고 금은 목을 극하여 목이 화를 돕는 것을 막는다.
금극목(金剋木) 금이 목을 극하고 목은 토를 극하여 토가 금을 돕는 것을 막는다.
오행 분류표
구분 | 木 | 火 | 土 | 金 | 水 |
천간 | 甲乙 | 丙丁 | 戊己 | 庚辛 | 壬癸 |
지지 | 寅卯 | 巳午 | 辰戌丑未 | 申酉 | 亥子 |
방위 | 東 | 南 | 中央 | 西 | 北 |
계절 | 春 | 夏 | 환절기 | 秋 | 冬 |
색상 | 청색 | 적색 | 황색 | 백색 | 흑색 |
성품 | 仁 | 禮 | 信 | 義 | 智 |
맛 | 신맛 | 쓴맛 | 단맛 | 매운맛 | 짠맛 |
오장 | 간,담 | 심장,소장 | 비장,위장 | 폐, 대장 | 신장,방광 |
음양오행은 특별히 암기해야 할 것이 없으며 반복 학습을 통해서 충분히 이해한다면 자연히 숙지하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