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근묘화실(根苗花實)
근묘화실은 인생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으며 사주팔자를 쉽고 빠르게 간명할 수 있는 정말 중요한 관법입니다.
근묘화실은 암기보다는 이해를 해야하는데 운동성과 극을 당하는 육친의 상태를 생각하면서 공부하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 근묘화실(根苗花實)의 이해
時 日 月 年
實 花 苗 根
60세이후 40-60세가량 20-40세 가량 1-20세까지
노년기 장년기 청년기 소년기
자식 본인, 배우자 부모형제, 직장 조상
대문 거실 기둥 집터
정관의 자리 정재의 자리 편재의 자리 인성의 자리
.
1. 년주(年柱)의 이해
년주에 있는 육친은 일찍 사용되는 글자로 관성이 있으면 본인이 직장을 빨리 구직할 수 있고 조상들도 높은 직책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합니다.
년주의 자리에 있어야 할 육친이 있는지 아니면 반대되는 육친이 있는지에 따라서 소년기를 어떻게 보냈는지를 감명할 수 있습니다.
2. 월주(月柱)의 이해
월지는 가장 힘있는 자리로서 직업운을 보는 자리입니다.
월주에 관성이 있으면 조직생활에 잘 맞아서 알맞은 시기에 직장에 취업할 수가 있고 부모도 지위가 높은 가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합니다.
월주를 충,극하거나 부모를 극하는 육친이 있으면 부모형제의 덕을 입기 힘들고 고향을 떠나서 홀로 살아가야 하는 팔자라고 해석합니다.
3. 일주(日柱)의 이해
일간은 본인의 자리이고 일지는 남자에게는 부인의 자리가 되고 여자는 남편의 자리가 됩니다.
배우자 자리에 있어야 할 육친이 있으면 부부지간에 화목할 것이지만 반대되는 육친이 있을 경우는 불화나 이혼을 할 수도 있습니다.
4. 시주(時柱)의 이해
시주에 있는 글자는 일찍 사용하기 어렵고 말년의 상황을 보여주는 자리입니다.
시주에 있어야 할 육친이 있을 경우 훌륭한 자녀을 두고 노후가 안락하겠지만 반대 되는 육친이 위치할 경우에는 질병이나 고독으로 인하여 노후가 순탄하지 않을 것입니다.
□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
육친이 년, 월, 일. 시 어느 곳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작용력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유심히 관찰하여 감명에 활용해야 합니다.
년, 월에 있으면 빨리 사용할 수 있고 일, 시에 있으면 40세 이후에 늦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육친이 어느 위치에 있느냐의 해석은 첫째 그 자리에 있음으로 인해서 어느 육친이 극을 당하는지 반대편의 육친을 살펴 보는 것이 우선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월주가 부모의 자리라면 부친을 뜻하는 편재의 자리인데 비겁이 있으면 부친을 극하여 부모와의 관계가 좋지 못할 것이라고 감명합니다.
두번째 운동성의 방향을 봅니다. 즉 상생의 관계를 말하는데 시간이 봄에서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순환 하듯이 육친도 비겁을 기준으로 식상, 재성, 관성, 인성(아,식,재,관,인)순으로 순환합니다.
예를들어 년주에 비견이 있다고 한다면 성장성이 발달하였다고 감명을 합니다. 이유는 비겁이 식신을 생하므로 건강상태를 의미하는 식신이 빨리 성장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반면에 년주에 편인 있다면 편인은 식신을 극하므로 성장성이 부족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세번째는 육친 자체를 봅니다.
년주는 인성이 있어야될 자리이고 청소년기는 공부에 열중해야할 시기이므로 인성이 자리에 있게 될 경우 학문의 발전이 있을 것입니다.
만약 편재가 년주에 자리하고 있다면 남자에게 재성은 돈이나 여자를 의미하므로 청소년기에 돈과 여자를 알게되어 학문에 지장을 초래할 것입니다.
월주는 편재가 있어야할 자리이고 청년기에는 경제활동이 필요하므로 편재가 있으므로서 금전운이나 부모형제와의 관계가 좋을 것입니다.
재성은 관성을 생하므로 직장과의 관계도 좋을 것이지만 편재를 극하는 비겁이 있다면 부모와 불화하게될 것입니다.
일주는 남자에게는 정재 여자에게는 정관이 있어야 하는 자리이고 각각 배우자의 자리에 배우자가 있으므로서 부부관계가 좋을 것입니다.
남자에게 재성을 극하는 비겁이 있거나 여자에게 정관을 극하는 상관이 있을 경우 배우자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 것입니다.
시주에 정관은 남자에게 자식이고 시주에 식상은 여자에게 자식이 되는데 이들 육친이 있을 경우 자식과의 관계가 좋을 것입니다.
남자 사주에 정관을 극하는 식상이 있다거나 여자 사주에 식상을 극하는 인성이 시주에 있다면 자식과의 인연이 약하다고 합니다.
위치에 의한 육친변용법은 이러한 방법으로 년, 월, 일, 시에 각각의 육친을 대입할 경우 수많은 경우의 수가 나오게될 것입니다.
주의할 점은 오행의 상생과 상극 논리에 빠지거나 육친의 상생과 상극논리에 빠지는 것입니다. 천간과 지지 또는 지지 상호간에 이와같은 논리를 적용시키면 안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수고하셨습니다.
'간지론강의(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강. 지장간(支藏干) (0) | 2016.11.18 |
---|---|
6강, 육친론(六親論) (0) | 2016.11.17 |
4강. 사주에 많은 오행과 육친 (0) | 2016.11.10 |
3강. 사주에 없는 오행과 육친 (0) | 2016.10.29 |
2강. 당사주(唐四柱) (0) | 2016.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