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강. 지장간(支藏干)
지장간은 지지속에 숨겨진 천간으로 지지가 합에 의하여 성질이 변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고 지장간 자체로 해석을 하여 사주에는 보이지 않지만 있는 육친으로 판단을 합니다. 지장간의 변화와 진술축미의 입묘작용은 반드시 숙지를 해야 사주를 정확하게 감명할 수 있습니다.
지장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子 : 癸
丑 : 癸 辛 己
寅 : 戊 丙 甲
卯 : 乙
辰 : 乙 癸 戊
巳 : 戊 庚 丙
午 : 己 丁
未 : 丁 乙 己
申 : 戊 壬 庚
酉 : 辛
戌 : 辛 丁 戊
亥 : 甲 壬
子와 午는 원래 지지에서 양이지만 음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자의 지장간과 오의 지장간이 모두 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형태는 즉 체(體)는 양이지만 용(用)은 음이기 때문입니다.
巳와 亥는 원래 지지에서 음이지만 양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지장간이 모두 양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체(體)는 음이지만 쓰임은 용(用)이기 때문입니다.
寅, 申, 巳, 亥의 오행변화
寅은 원래 木이지만 지장간에 戊, 丙, 甲을 가지고 있어서 寅午戌 삼합에 의하여火로 변화합니다. 寅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丙(火)이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申은 원래 金이지만 지장간에 戊, 壬, 庚을 가지고 있어서 申子辰 삼합에 의하여 水로 변화합니다. 水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壬(水)이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巳는 원래 火이지만 지장간에 戊, 庚, 丙을 가지고 있어서 巳酉丑 삼합에 의하여 金으로 변화합니다. 巳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庚(金)이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亥는 원래 水이지만 지장간에 甲, 壬을 가지고 있어서 亥卯未 삼합에 의하여 木으로 변화합니다. 亥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甲(木)이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亥의 지장간에 戊가 없는 이유는 戌이 火, 土를 입묘시키기 때문에 넘겨줄게 없기 때문입니다.
子 午 卯 酉는 旺지에 해당하므로 어떠한 기운에도 변화하지 않습니다.
午의 지장간에 己와 丁이 있는 이유는 土와 火는 12운성으로 같은 운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辰, 戌, 丑, 未의 오행변화
辰(乙癸戊)은 원래 土이지만 寅, 卯, 辰 방합에 의하여 木으로 변할 수 있고 申子辰 삼합으로 水로 변할 수 있습니다. 방합으로 변화는 이유는 지장간에 숨겨진 乙(木)이 작용을 하기 때문이고 삼합으로 변화하는 이유는 癸(水)가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戌(辛丁戊)은 원래 土이지만 辛, 酉, 戌 방합으로 金으로 변할 수 있고 寅午戌 삼합으로 火로 변할 수 있습니다. 방합으로 변화는 이유는 지장간에 숨겨진 辛(金)이 작용을 하기 때문이고 삼합으로 변화하는 이유는 丁(火)이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丑(癸辛己)은 원래 土이지만 亥, 子, 丑 방합에 의하여 水로 변할 수 巳酉丑 삼합이 되어 金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방합으로 변하는 이유는 지장간에 숨겨진 癸(水)가 작용을 하기 때문이고 삼합으로 변하는 이유는 辛(金)이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未(丁乙己)는 원래 土이지만 巳, 午, 未 방합에 의하여 火로 변화할 수 있고 亥卯未 삼합으로 木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방합으로 변하는 이유는 지장간에 숨겨진 丁(火)이 작용을 하기 때문이고 삼합으로 변하는 이유는 乙(木)이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辰, 戌, 丑, 未, 지장간의 특징을 잘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辰(乙,癸,戊)에 지장간 乙은 寅, 卯, 辰 방합으로 진이 봄에 속하는 이유이고 지장간 癸는 다음 계절인 火를 만나면 상하기 때문에 여름을 통과하기 위하여 辰에 숨는데 이를 입묘작용이라고 합니다.
未(丁, 乙, 己)에 지장간 丁은 巳, 午, 未 방합으로 미가 여름에 속하는 이유이고 지장간 乙은 다음 계절인 金을 만나면 상하기 때문에 가을을 통과하기 위하여 미에 숨는다는 것입니다.
戌(辛, 丁, 戊)에 지장간 辛은 申, 酉, 戌 방합으로 술이 가을에 속하는 이유이고 지장간 丁은 다음 계절인 水를 만나면 상하기 때문에 겨울을 통과하기 위하여 술에 숨는다는 것입니다.
丑(癸, 辛, 己)에 지장간 癸는 亥, 子, 丑 방합으로 축이 겨울에 속하는 이유이고 지장간 辛은 다음 계절인 木을 만나면 상하기 때문에 봄을 통과하기 위하여 축에 숨는다는 것입니다.
辰, 戌, 丑, 未는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팔자에 진술축미가 있거나 운(運)에서 왔을 때는 신중하게 작용력 변화를 살펴 봐야 합니다.
辰의 작용력 변화는 먼저 水의 入墓작용 그리고 寅, 卯, 辰 봄의 계절적인 작용, 다음 글자인 巳(火)를 낳는 작용을 합니다.
戌의 작용력 변화는 火와 土의 입묘작용, 申, 酉, 戌 가을의 계절적인 작용, 다음글자인 亥(水)를 낳는 작용을 합니다.
丑의 작용력 변화는 먼저 金의 입묘작용 그리고 亥, 子, 丑 겨울의 계절적인 작용, 다음글자인 寅(木)을 낳는 작용을 합니다.
未의 작용력 변화는 먼저 木의 입묘작용 그리고 巳, 午, 未 여름의 계절적인 작용, 다음글자인 申(金)을 낳는 작용을 합니다.
지장간은 때에 따라 나타났다 사라지는 역할을 하므로 엑스트라 라고 하는데 지장간의 사용은 합이나 충을 만나야 가능하다고 합니다.
지장간의 변화와 특히 辰, 戌, 丑, 未의 작용력 변화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성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생각하고 앞으로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간지론강의(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강. 격국론(格局論) (0) | 2016.11.24 |
---|---|
8강. 12운성(十二運星) (0) | 2016.11.21 |
6강, 육친론(六親論) (0) | 2016.11.17 |
5강. 근묘화실(根苗花實) (0) | 2016.11.12 |
4강. 사주에 많은 오행과 육친 (0) | 2016.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