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타

2. 물상론(10天干)

우인의 굴렁쇠 2017. 1. 26. 12:06

2. 물상론(10天干)

목(木) - 교육, 창작, 기획, 고집, 발명, 통솔력, 명랑성, 비타협, 창조, 벼락, 천둥, 놀람, 성냄, 권위, 건축, 가구, 원예, 산림, 조경, 학원, 강사, 학교, 교수, 목수, 학자, 종이, 문구, 의류, 목공, 화원, 섬유, 계획, 학문, 보육, 농장, 유치원, 기숙사, 일출, 시작, 아침, 출발, 기상, 준비, 산림, 웅변, 식물원, 철탑, 설계, 모종, 출근, 뉴스, 발아, 성장, 발육, 사춘기, 탄생, 외곽, 개장, 서점, 화술, 언론, 장식, 미용, 디자인, 인테리어, 대화, 패션, 영업, 판매, 상담, 발전, 지식, 논리, 등.

목(木)을 갑(木)과 을(木)로 분류 한 후 계절, 인생, 운동성, 재성, 관성, 물질 등으로 다시 세분화 시킬수 있어야 한다.

1. 갑(甲)
1) 계절 초봄을 기준으로 분류
초봄은 사계절의 시작이고 모든 만물이 음기를 뚫고 올라오는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갑은 인생을 비유하자면 유아기를 말하며 주로 새로운 것들을 배우고 자라나는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자면 갑은 대지를 뚫고 올라오는 운동을 의미하므로 위로 올라간다는 점을 상상하며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갑을 재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관성을 기준으로 분류
갑을 관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나무를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2.을(乙)
1) 계절 늦봄을 기준으로 분류
늦봄은 모든 만물이 음기를 뚫고 올라온 다음에 사방으로 벌어지는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을은 인생에 비유하자면 소년기를 말하며 주로 학업을 배우고 자라나는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자면 을은 솟아오른 줄기가 옆으로 벌어지는 운동을 의미하므로 벌어진다는 점을 상상하며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을을 재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관성을 기준으로 분류
을을 관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나무를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화(火) - 꽃, 정열, 발산, 밝음, 빛, 확장, 폭죽, 소리, 정치, 활달, 탐색, 수사, 과학, 전자, 전파, 항공, 성급, 통신, 이동, 방송, 음악, 성악, 악기, 노래, 빌딩, 조명, 전기, 언덕, 가스, 화학, 운동, 찜질방, 사우나, 열기, 시내, 중심가, 시장, 공연, 영업, 업무, 연락, 소통, 연주, 영화, 청년, 광고, 홍보, 보일러, 카메라, 망원경, 화장품, 장신구, 시상식, 안경, 예술, 연예, 오락, 활동, 취업, 직장, 배우, 주연

화(火)를 병(丙)과 정(丁)으로 분류한 후 다시 계절, 인생, 운동성, 재성, 관성, 물질 등으로 세분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3. 병(丙)
1) 계절 초여름을 기준으로 분류
초여름은 모든 만물이 사방으로 확산되어지는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병은 인생에 비유하면 청년기를 말하며 주로 사회생활 초년기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면 병은 사방으로 확장하는 운동을 의미하므로 발산한다는 점을 상상하며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병을 재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관성을 기준으로 분류
병을 관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불을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4. 정(丁)
1) 계절 늦여름을 기준으로 분류
늦여름은 모든 만물이 사방으로 확산되고 그 뒤에 2차로 확장이 되는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정은 인생에 비유하자면 청년기를 말하며 주로 왕성한 사회활동을 하는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자면 정은 사방으로 2차 발산을 한다는 점을 상상하며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정을 재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관성을 기준으로 분류
정을 관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불을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토(土) - 중계, 매매, 알선, 연결, 결합, 통일, 중화, 포용, 중앙, 실천, 표현, 조절, 비밀, 저장, 타협, 농업, 토목, 중매, 잡기, 토건, 숙박, 부동산, 설비, 도자기, 창고, 화물, 물류, 주차장, 건축자재, 백화점, 마무리, 정리, 종합, 결산, 정지, 억제, 제어, 통제, 무역, 벽돌, 기와, 타일, 의지, 돌격, 전진, 팽창, 인내, 도전, 추진, 군인, 사업, 정치, 무관, 두목, 선장, 소극적, 실속, 농장, 목장, 모래, 자갈

토(土)를 무(戊)와 기(己)로 분류한 후 다시 양과 음 운동의 극단, 인생, 운동성, 재성, 관성, 물질 등으로 세분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5. 무(戊)
1) 양 운동의 극단을 기준으로 분류
여름운동의 극단으로 모든 만물이 사방으로 확산되어 팽창된 모습의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戊는 인생에 비유하자면 청년기의 결정을 말하는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자면 무는 사방으로 발산하여 정점에 달했다는 것과 양과 음을 연결시켜 준다는 점을 상상하며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무를 재성으로 사용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관성을 기준으로 분류
戊를 관성으로 사용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토를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6. 기(己)
1) 음 운동의 시작을 기준으로 분류
음 운동의 시작으로 모든 만물이 성장을 멈추고 결실을 준비하는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己는 인생에 비유하자면 청년기를 지나서 장년기로 접어드는 시기로 음 운동의 시작을 말하는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자면 기는 발산을 멈추고 이제 결실운동을 준비하는 시기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己를 재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관성을 기준으로 분류
己를 관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토를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금(金) - 열매, 껍질, 수축, 결실, 건조, 군경, 의사, 침구, 공업, 거울, 바늘, 매듭, 기술, 보석, 칼, 고기, 과일, 곡류, 병, 통조림, 금융, 의리, 광업, 철물, 금속, 자동차, 총기, 철강, 시계, 공구, 경비, 보안, 용접, 침술, 술병, 마취, 구멍, 유리, 수확, 철거, 수집, 결과물, 노련미, 안정, 숙련, 보장, 소득, 재산, 마감, 정리, 실적, 퇴근, 씨앗

금(金)을 경(庚)과 신(辛)으로 분류한 후 다시 계절, 인생, 운동성, 재성, 관성, 물질 등으로 세분화 할 수 있어야 한다.

7. 경(庚)
1) 계절 초가을을 기준으로 분류
초가을은 모든 만물이 성장을 멈추고 결실을 맺는 운동을 하는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庚은 인생에 비유하자면 장년기를 말하며 주로 안정적인 삶을 유지하고 결과물을 만드는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자면 경은 결실을 맺는 운동을 의미하므로 마무리로 열매를 맺는다는 점을 상상하며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庚을 재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관성을 기준으로 분류
庚을 관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쇠를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8. 신(辛)
1) 계절 늦가을을 기준으로 분류
늦가을은 모든 만물이 결실을 맺고 씨앗을 만드는 운동을 하는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辛은 인생에 비유하자면 장년기 말기를 말하며 주로 결과물을 만들고 사회생활을 마무리하는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자면 신은 열매와 씨앗을 몸체와 분리하는 운동을 의미하므로 떨어뜨린다는 점을 상상하며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辛을 재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辛을 관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정교한 쇠를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수(水) - 수면, 저장, 씨앗, 고독, 수축, 얼음, 종교, 야간, 음지, 비밀, 애정, 물, 자궁, 생명, 숙박, 유흥, 음란, 술, 지혜, 학문, 해운, 수산, 주류, 유통, 무역, 통상, 외교, 여행, 목욕, 냉동, 연구, 정보, 특허, 음료, 세탁, 소방서, 수영장, 조선소, 배, 욕실, 온천, 어장, 물고기, 해물, 선원, 은둔, 보관, 종자, 정지, 지하, 죽음, 양식장

수(水)를 임(壬)과 계(癸)로 분류를 한 후 다시 계절, 인생, 운동성, 재성, 관성, 물질 등으로 세분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9. 임(壬)
1) 계절 초겨울을 기준으로 분류
초겨울은 모든 만물이 기운을 씨앗으로 수렴하는 운동을 하는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壬은 인생에 비유하자면 노년기를 말하며 주로 휴식과 인생을 마무리 하는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자면 임은 모든 기운을 씨앗에 저장하는 운동을 의미하고 휴식기에 들어간다는 점을 상상하며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壬을 재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관성을 기준으로 분류
壬을 관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물을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10. 계(癸)
1) 계절 늦겨울을 기준으로 분류
늦겨울은 모든 만물이 기운을 수렴하고 저장하는 운동을 하는 시기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2) 인생을 기준으로 분류
癸는 인생에 비유하자면 노년기를 말하며 주로 휴식과 인생을 마무리 하는 시절이라는 점을 상상하여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3) 운동성을 기준으로 분류
운동성에 비유하자면 계는 모든 기운을 땅속에 저장하는 운동을 의미하고 휴식기에 들어간다는 점을 상상하며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4) 재성을 기준으로 분류
癸를 재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장사를 하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5) 관성을 기준으로 분류
癸를 관성으로 사용을 한다면 어떤 직업에 맞느냐를 알아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물상으로 확장을 한다.
6)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
물질을 비유하자면 물이나 얼음을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물건이나 물상들로 확장을 한다.

오행이나 천간, 지지를 정신이나 물상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각 글자의 근본적인 의미와 운동성을 정확하게 파악을 해야만 가능하다. 천간과 지지의 다른 점은 천간은 정신적인 면을 기준으로 하고 지지는 물질적인 면을 기준으로 확장을 하는 것이다. 이해를 해야지 절대 암기를 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기 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복(三伏)이란?  (0) 2018.07.17
물상론(六親)  (0) 2017.01.28
3. 물상론(12地支)  (0) 2017.01.27
1. 물상론(五行)  (0) 2017.01.24
하루  (0) 2016.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