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지장간(支藏干)과 월령용사(月令用事)
지장간은 12지지속에 숨어있는 천간을 말하는데 실제로는 지지 자체가 여러개의 천간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월령용사 또는 월률분야도는 1개월간의 기후 변화에 따른 천간의 배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접입일부터 차례대로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간은 반드시 암기해야 하고 월령용사는 간지론에서 사용하지 않으므로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지장간(支藏干)
(1) 子-----癸
(2) 丑-----癸辛己
(3) 寅-----戊丙甲
(4) 卯-----乙
(5) 辰-----乙癸戊
(6) 巳-----戊庚丙
(7) 午-----己丁
(8) 未-----丁乙己
(9) 申-----戊壬庚
(10) 酉----辛
(11) 戌----辛丁戊
(12) 亥----甲壬
□ 지장간 계통별 분류
寅申巳亥는 사생(四生) 또는 사맹(四孟)이라고 하며 매사에 의욕이 강하고 시작, 기획, 창작, 설계 등에 소질이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子午卯酉는 사왕(四旺) 또는 사정(四正)이라고 하며 오행의 가장 순수한 기운을 의미하고 개성과 주관이 뚜렷하여 어떤 변화가 오더라도 변하지 않는다.
辰戌丑未는 사묘(四墓) 또는 사고(四庫)라고 하며 만물의 저장과 보관을 주도하며 종합이나 포용등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진술축미는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입묘 작용등의 변화를 잘 살펴야 한다.
□ 지지와 지장간 체(體)와 용(用)
子와 午는 체(體)는 양이지만 사용은 음으로 한다. 이유는 子의 지장간에 癸水가 숨어있고 午는 지장간에 己, 丁 음이 자리하고 있으므로 용(用)이 음이라는 것이다.
□ 월령용사(月令用事)
월령용사(월률분야도)는 각 월마다 월지에서 사령(司令)하는 기간을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로 나누었다.
여기는 지난달의 기운이 이월(移越)되어 남아 있다는 뜻으로서 앞 절기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중기(中氣)는 여기에서 정기에 이르는 중간기로서 가장 세력이 약하고 다른 지지와 삼합(三合)하여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정기(正氣)는 그 달의 본래 기운으로서 그 지지가 지닌 오행과 동일한 천간이 되고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다.
월령용사 또는 월률분야도
구분 | 여기 | 중기 | 정기 |
子 | 壬 10일 | 癸 20일 |
|
丑 | 癸 9일 | 辛 3일 | 己 18일 |
寅 | 戊 7일 | 丙 7일 | 甲 16일 |
卯 | 甲 10일 | 乙 20일 |
|
辰 | 乙 9일 | 癸 3일 | 戊 18일 |
巳 | 戊 7일 | 庚 7일 | 丙 16일 |
午 | 丙 10일 | 己 9일 | 丁 11일 |
未 | 丁 9일 | 乙 3일 | 己 18일 |
申 | 戊 7일 | 壬 7일 | 庚 16일 |
酉 | 庚 10일 | 辛 20일 |
|
戌 | 辛 9일 | 丁 3일 | 戊 18일 |
亥 | 戊 7일 | 甲 7일 | 壬 16일 |
지장간을 암기할 때는 인신사해, 자오묘유, 진술축미를 따로 분류하여 정리를 하면 편리하고 지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위해서 지장간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지장간은 월령용사처럼 월지(月支)에 따라 일정한 흐름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고 월지와 상관없이 각 지지속에 순수하게 소속되어있는 천간의 기운을 의미한다.
천간을 주연, 지지는 조연, 지장간을 엑스트라라고 표현하는 것처럼 지장간에 있는 천간들은 합, 충, 형을 통해서 변화가 생기면 언제든지 나타나 활동을 하므로 없는 것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수고하셨습니다.
'간지론강의(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강. 충,형(沖, 刑) (0) | 2016.10.11 |
---|---|
6강. 합(合) (0) | 2016.10.09 |
4강. 천간지지(2) (0) | 2016.10.06 |
3강. 천간지지(1) (0) | 2016.10.05 |
2강. 오행(五行) (0) | 2016.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