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론강의(기초)

7강. 충,형(沖, 刑)

우인의 굴렁쇠 2016. 10. 11. 11:42

7. , (, )

 

충은 천간충과 지지충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천간은 서로에게 자극을 주어 역량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충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지지충은 적대적 파괴작용을 하며 주로 이동이나 변화가 생기는 시기로 해석한다.

형은 수술이나 형벌 그리고 조정작용을 의미하며 의료, 법무, 세무, 금융 등 인명과 관련된 직업을 구성한다. 합충형의 의미와 종류를 반드시 숙지해야 하고 물상이나 형상으로 충분히 확장할 수 있어야 사주풀이가 가능할 것입니다.

 

천간충(天干沖)

1. 甲庚 沖

2. 乙辛 沖

3. 丙壬 沖

4. 丁癸 沖

 

천간충은 동서남북의 대립이고 편관과 편재의 만남을 의미한다. 천간은 정신이므로 현실에 변화를 주는 것은 아니지만 심리적갈등이나 대인관계의 변화 또는 정신적인 이상의 변화를 일으키므로 잘 살펴봐야 한다.

 

지지충(地支沖)

1. 子午 沖

왕지의 충으로 일신이 불안정하며 매사에 전전긍긍하는 일이 많고 구설이 따르고 질병으로는 심장이나 정신질환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심성은 정직하지만 소심한 면이 있어서 매사에 신중하지 못하여 선뜻 선택을 하고 나서 결정을 번복하는 경우가 많다.

2. 卯酉 沖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 타인과의 충돌이 많고 상대를 배신하거나 선을 베풀고도 좋은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경향이 많으며 주거지 변동도 남달리 많다. 부부불화와 친인척 불화가 많고 질병으로는 간 또는 수족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3. 寅申 沖

매사에 너무 서두르는 경향이 많아서 시작은 있으나 끝이 흐린 경우가 많다. 누가 시키지도 않은 일을 스스로 만들어서 하며 항상 일이 많고 분주한 것이 특징이다. 교통사고나 형액이 발생하고 간에 이상과 신경통 등이 발생할 수 있다.

4. 巳亥 沖

소심한 성격에 남의 일에 간섭이 많아 구설이나 논쟁에 휘말리는 일이 많다. 대인관계를 신중하게 해야만 후회가 없다. 긁어 부스럼이란 말이 있듯이 괜히 일을 만들어서 걱정을 하거나 후회하는 경우가 있다. 화재나 폭발사고에 주의하여야 하고 질병으로는 심장과 혈압등에 주의해야 한다.

5. 辰戌 沖

과묵한 성격에 강직하고 과단성이 있다. 남에게 잘 베푸는 성격이나 자신에게 닥친 어려움에는 방관하거나 속수무책인 경향이 있으며 역부족인 일을 도모하다가 어려운 지경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집이나 토지에 관한 관재구설, 송사가 발생하기 쉽다. 질병으로는 위장과 피부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6. 丑未 沖

형제와 친척에게 많은 것을 베풀어도 공덕이 적고 재산관계로 인한 다툼이나 손재수가 많다. 형제나 친구 친척들이 내가 성공했을 때는 주변에 많이 따르지만 자신이 실패했을 때는 모든 관계가 냉정하게 변하는 일이 많다. 질병으로는 위장과 소화기계통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천간은 정신적인 경우를 뜻하므로 충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말로 싸우는 경우와 같아서 영향력이 크지 않다고 본다.

지지는 현실이므로 충이 발생하면 뿌리가 흔들리는 격으로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다.

천간에 충이 있는데 지지도 충하게되면 천극지충(天剋地沖)이라 하여 그 영향력이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명조에 사충(四忠) , , , ,, , , , 또는 , , , 네글자가 지지에 모두 있는 경우 대부대귀(大富大貴) 할 수 있는 명으로 보고 여자의 경우는 반대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단 순서가 다르게 배치되면 안 된다.

천간은 합이 되고 지지는 충이 될 경우 외합내소(外合內疎)라 하여 겉으로는 화목하고 생산적인 것 같으나 속으로는 곪은 상태로 서로 갈등이 심한 관계가 되고 천간은 충이 되고 지지는 합이 되는 천극지합(天剋地合)은 이와 반대로 외소내친(外疎內親)이다.

충 옆에 합이 있으면 충의 작용력이 약해지고 합의 작용력이 나타나는데 합이 깨지면 충 역할이 다시 살아난다.

사주에 있는 글자가 운()을 충하는 것을 내충(內沖)이라 하는데 길흉작용이 신속하게 나타나고 운()이 명조를 충하면 외충(外沖)이라 하여 길흉작용이 더디게 나타난다.

 

()

寅巳申 ----- 持世之刑

막강한 세력을 믿고 권력을 휘두르다가 화를 당한다. 사주에 지세지형이 있으면 타인을 억압하거나 업신여기는 성향이 있고 모든 일을 급하게 서두르다 후회하는 일이 많다. 사주구성이 잘 되어 있으면 권력을 갖거나 법관이나 검찰 같은 직업을 갖는다.

2. 丑戌未 ----- 無恩之刑

은혜를 알지 못하고 배신을 한다. 사주에 무은지형이 있으면 사소한 일로 인하여 다툼이 일어나 원수가 되는 경우가 있다. 사주구성이 잘 갖추어져 있으면 의료계통이나 세무계통의 직업을 갖는다.

3. 子卯 ----- 無禮之刑

예의없는 짓을 잘 한다. 사주에 무례지형이 있으면 이성 관계에서 불륜이나 간통, 패륜, 변태 등으로 인한 구설, 시비, 형액 등이 따른다. 사주구성이 잘 갖추어져 있으면 보험조정이나 간단한 제조업계통의 직업에 종사한다.

4. 辰辰, 午午, 酉酉, 亥亥 ----- 自刑

서로 다투는 모습을 말한다. 자책하는 마음에서 자해 행위를 하는 모양으로 자해 행위로 인한 신체에 장애가 생기거나 불구가 되고 그밖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형살중에서 작용력이 강한 순서는 지세지형, 무은지형, 무례지형, 자형 순이며 남녀 모두 일지에 형살이 있으면 배우자가 관액이 따르거나 우환이 많은 걸로 해석한다. 단 직업이 의료, 법무, 세무, 금융 등과 같이 형살과 관련된 직업을 본인이 가지고 있거나 배우자가 가지면 액을 면한다. 운에서 올때는 관재구설, 사고, 소송, 재판, 수술, 교통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매사에 주의하여야 한다. 형살이 있는 사주는 성격이 냉정하고 판단력이 있는데 직업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결국 충은 글자의 기운이 서로 반대방향(동서, 남북)에 있기 때문에 타협하지 못하고 대립하는 관계이므로 이동이나 변화가 생긴다고 이해하면 되고 형은 조정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부족하면 채우고 남으면 자르거나 버리는 역할을 하므로 수술, 구속, 수선, 조립 등과 같이 균형을 유지시킨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간지론강의(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강. 공망(空亡)  (0) 2016.10.16
8강. 12운성(十二運星)  (0) 2016.10.14
6강. 합(合)  (0) 2016.10.09
5강. 지장간(支藏干)과 월령용사(月令用事)   (0) 2016.10.08
4강. 천간지지(2)  (0) 2016.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