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론강의(고급)

8강. 궁합(宮合)

우인의 굴렁쇠 2016. 12. 15. 15:10

8강. 궁합(宮合)

궁합은 흔히 겉궁합과 속궁합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겉궁합은 정신적인 성향이나 추구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서 쉽게 말하여 성격이고 속궁합은 밤 궁합이라고 하여 잠자리를 말합니다.

궁합을 보기에 앞서 먼저 3가지 사항을 우선 살펴보아야 합니다.
첫째, 남자가 전생에 윗사람인 경우 여자가 아랫사람이었던 관계는 그나마 큰 문제가 없습니다. 어차피 여자는 잘 참는 성향이 강하니까 복종을 잘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부인이 윗사람인 경우와 남편이 아랫사람인 경우가 만나면 좀 힘이 듭니다. "남편 잡아먹을 사주다, 여자를 잘못 만나서 남자가 죽었다."라는 말을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둘째, 당사주에 보면 천간살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천간살은 배우자를 아프게 하거나 심하면 사별하게 만드는 살이라고 합니다. 천간살이 년에 있으면 문제가 없지만 월에 들어 있다면 중년에 배우자와 이별이나 사별을 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이 됩니다. 일에 있으면 배우자가 나보다 먼저 죽는다는 정도로 해석을 하면 되고 시에 들어 있으면 평생에 배우자를 극하는 꼴이 되므로 이혼을 반복하여 결혼을 여러차례 하거나 사별을 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천간살이 같은 위치에 있는 배우자끼리 만나게 되면 살이 없어진답니다. 천간살이 월에 있는 남자가 천간살이 같은 월에 있는 여자를 만나는 경우를 예로들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천간살 하나만 가지고 배우자와 이혼하거나 사별하게 만드는 무서운 살이라고 판단해 버리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사주에 양인이 있거나 배우자 운이 좋지 않은 사주인지을 살펴본 연후에 종합적인 판단을 해야 할 것입니다.

셋째, 상대방의 사주가 중요합니다. 결혼을 여러차례 해야하는 사주를 가진 남자를 택한 여자는 본인의 사주와는 상관없이 이혼을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나의 사주와 관계없이 상대방의 사주에 따라서 내 팔자도 변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인연법입니다.
배우자의 사주팔자를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삶을 살아갈 것이고 배우자와의 관계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를 대체적으로 알 수가 있습니다. 그 인생에 내가 끼어들어서 살아도 되겠는가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둘이서 궁합이 좋다. 나쁘다가 문제가 아니고 그 사람의 인생에 나를 맡겨도 되느냐가 문제입니다. 그래서 궁합이전에 사주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특히 여자는 배우자가 도둑이면 도둑의 아내가 되고 배우자가 대통령이면 영부인이 되는 것입니다.
물론 요즘은 여자들의 사회진출이 많아서 각자 생활이 있기는 하지만 배우자의 운명이 나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하겠습니다.

궁합에서 정신적인 성향이나 추구하는 방향은 삼합으로 구분합니다.
태어난 띠를 기준으로 상대방과 삼합(三合)이 되는 띠를 가진 사람을 최고의 궁합으로 보는데 일반적으로 4살 차이는 궁합도 안 보고 결혼을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띠 궁합은 일반인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궁합법인데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는 일리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삼합에 해당하면 운동성이 같기 때문에 서로의 성향이 비슷하고 추구하는 바도 방향이 같다고 판단해서 좋은 궁합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동갑이나 4살 차이, 8살 차이는 모두 3합이 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남녀 어느 쪽이던 관계없이 서로 잘 맞는 궁합이라고 합니다.

오행 궁합이 있는데 나에게 없는 오행을 상대방이 많이 가지고 있는 경우는 서로가 부족한 오행을 채워주는 관계라고 봅니다. 그렇게 되면 서로 필요한 오행을 나누어 갖고 있기 때문에 보완작용으로 잘 산다는 것입니다. 겨울에 태어난 남자와 여름에 태어난 여자가 잘 맞다고 합니다. 한 사람이 몸이 차다면 한 사람은 몸이 따뜻해야 같이 붙어 있을 수가 있으니 좋다고 봅니다.
부부일심동체라는 의미로 본다면 서로에게 부족함을 채워준다는 의미에서 오행의 궁합은 매우 일리가 있는 궁합법인데 특히 자녀생산의 문제에 해당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속궁합은 밤 궁합이라고 합니다.
첫째, 사주팔자 일지에 같은 글자가 있는 경우가 가장 좋은 속궁합이 되겠습니다.
안방에 같은 글자가 놓여 있다는 것은 생리주기가 같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한쪽에서 달려들고 한쪽은 피곤하다거나 아프다는 이유로 피하는 관계가 된다면 부부생활에 갈등 요인이 될 것입니다.

둘째, 일지가 서로 삼합이 되는 경우인데 그것 또한 같은 운동성과 주기를 가지고 움직인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셋째, 일지가 서로 충이 되는 경우인데 그것은 반대기운끼리 충돌을 하지만 오히려 반대로 잘 맞는 경우입니다.
6개의 지지충이 모두 해당이 됩니다.

사주의 모양을 보고 살아가는 모습을 예측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남자사주에 관성이 일지에 있고 년에 재성이 있다면 그것은 안방에 자식이 있고 부인은 저 멀리 떨어져 있는 모습이 됩니다. 이것이 뜻하는 것은 부인과 자녀 사이의 관계가 좋지 못함을 예견할 수 있으며 자녀와 동거하고 부인과 떨어져 지내는 상황으로 생활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가정생활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반대로 일지에 재성이 있고 관성이 년에 있다면 부인과 동거하고 자녀를 멀리 보내는 형상이 되겠습니다. 그런 모습을 지닌 사주는 그런 모습으로 살아야 문제가 없다는 것을 예견하는 것입니다.
만약 여자 사주에 일지가 상관이고 정관이 년에 있다면 자녀와 동거하고 남편과는 떨어져 지내야 한다는 해석이 나오는데 그렇게 살지 않으면 어떻게 되느냐 하면 생긴 모습대로 살지 않는 피해를 당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는 남자가 직업상 외부에 나가서 사는 외교관이나 역마성 직업을 가진 배우자를 만나면 좋습니다.

사주구조와 상관없이 운의 영향력에 의하여 부부관계가 어려움을 겪게되는 시기가 있습니다.
여자의 경우 대운에서 정관을 극하는 상관 운이 오면 사주구조와 상관없이 부부관계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물론 대운이 배우자를 극하는 운이 온다고 해서 모두 잘못 된다는 것은 아니고 순탄치 않은 세월을 보내게 될 경우가 많다는 뜻입니다. 세운에서도 12년마다 배우자를 극하는 운이 2년씩 들어오는데 남자의 경우 비겁 운이 오면 재성을 극하여 배우자와의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여자도 마찬가지로 식상 운이 12년 마다 2년씩 들어와서 배우자와의 관계가 어려워진다는 것입니다.
사주구조에 문제가 없는 사람들은 그냥 지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사주에 문제를 안고 있던 사람들은 이런 세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남자 사주에 인성이 많으면 식상을 극하여 처가와 갈등이 생길 수 있고 비겁이 많으면 재성을 극하여 배우자와 갈등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여자 사주에 식상이 많으면 관성을 극하여 배우자와 갈등이 생길 수 있고 비겁이 많으면 재성을 극하여 시갓집과 갈등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사주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어야 비교적 순탄한 삶을 살아간다고 합니다.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