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강. 대운과 세운 해석
사주팔자에 영향을 미치는 행운(行運)을 크게 대운(大運)과 세운(歳運)으로 분류 합니다. 월운(月運), 일운(日運), 시운(時運)은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간지론에서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대운과 세운은 운명을 감정하는데 매우 중대한 영향력을 끼치므로 해석하는 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하셔야 됩니다.
대운의 간지가 10년을 관장한다면 세운은 1년을 관장하는 것으로 해석하며 대운은 상승기와 하락기를 뜻한다면 세운은 그 상승기 중에서도 좋고 나쁨을 또는 하락기 중에서도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1년 운세라고 합니다.
간지론에서는 무조건 대운이나 세운 모두 지지를 기준으로 운을 판단하고 천간은 사주에 있는 천간과 합, 충, 형 관계만 참고하는 정도입니다. 대운이나 세운 모두 지지는 현실이고 천간은 정신적인 작용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대운을 해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대운이 무슨 운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반대편에서 극을 당하여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가를 잘 살펴야 한다는 점입니다.
비견 대운에는 편재를 극하여 금전문제나 여자문제가 발생합니다.
겁재 대운에는 정재를 극하여 금전지출이나 처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식식 대운에는 편관을 극하여 남자는 자녀문제, 여자는 남자문제가 발생합니다.
상관 대운에는 정관을 극하여 남자는 직장, 여자는 남편문제가 발생합니다.
편재 대운에는 편인을 극하여 학업문제가 발생합니다.
정재 대운에는 인수를 극하여 모친문제나 학업문제가 발생합니다.
편관 대운에는 비견을 극하여 형제문제나 친구문제가 발생합니다.
정관 대운에는 겁재를 극하여 건강문제나 지인문제가 발생합니다.
편인 대운에는 식신을 극하여 남자는 제조, 생산에 문제가 발생하고 여자는 자녀문제가 발생합니다.
인수 대운에는 상관을 극하여 남자는 직장문제 여자는 자녀문제가 발생합니다.
사주팔자와 운에 대한 충(沖)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천간충은 정신적인 자극을 주므로 나쁘지 않고 지지 충은 역마작용으로 본다고 하였습니다.
월지를 충하면 대체적으로 이사를 하는 경우가 많고 일지를 충하면 배우자와의 관계가 시끄러워집니다. 월지는 본인의 직장을 의미하고 부모형제 그리고 고향을 의미하는 자리입니다. 일지는 배우자와 가정을 의미하는 자리입니다. 먼저 자리로서 분석을 하고 다음으로 어느 육친인가를 참고하면 됩니다.
특히 중요한 글자는 월지입니다. 그중에서도 정격사주는 충을 당하면 문제가 심각합니다. 예를들자면 월지에 정관으로 정격에 해당한다면 급수가 높은 명조인데 그것을 충하여 건드리면 장수의 칼이 부러진 것으로 잘못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답니다.
가장 힘 있고 멋진 글자를 충하거나 극하면 상당히 어려워집니다. 그럴때는 대운을 따라 가야 합니다. 무슨 대운이냐에 따라 그 육친을 따라서 살아가면 됩니다. 식상이 관성을 충하였다면 식상을 따라 가야합니다. 식상을 사용해서 살아야 합니다. 식상운에는 프리랜서나 교육적인 일을 하거나 또는 자기 사업을 하면 됩니다. 이미 30년이 식상 운으로 왔다면 관성이 극을 당하므로 직장생활을 하기에는 무리가 생깁니다. 가장 안타까운 사주가 관성을 강하게 갖고 태어난 사주가 중년에 그것을 사용하지 못하는 식상운을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주보다 운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子,午,卯,酉 대운을 지날 때는 모든 글자가 양보하지 않는 강한 기운이므로 운명에 큰 변화가 생기는 격동기를 맞게됩니다.
辰,戌,丑,未 대운을 지날 때는 입묘작용으로 누군가의 희생에 의한 변화 또는 이중생활의 아픔이 올 수 있는 것으로 봅니다.
특히 대운과 팔자의 월간지가 충하게 되는 시기에는 인생이 180도 바뀌는 아주 큰 변화와 변동이 일어나므로 반드시 대비를 하여야 합니다.
세운은 반대편 보다는 육친을 그대로 해석합니다.
대운을 계절이라고 한다면 세운은 하루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대운이 길하고 세운이 흉할 경우 작은 소흉으로 힘들게 느껴지더라도 발전하고 있는 모양이고 대운이 흉하고 세운이 길하다면 흉중에 소길하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흥하고 망하고 살고 죽고는 모두 당해 년 세운에 있다고 합니다.
대운의 천간을 중요하게 보아야 한다는 개두설과 천간의 기운이 좋아도 지지가 반대 기운이면 좋지 못하다는 절각설 그리고 대운과 세운이 충이 되는 상황을 흉하게 보는 전극설 등 다양한 견해들이 있으나 간지론에서는 대운과 세운의 관계를 서로 연관시키지 않고 각자 따로 사주에 대입하여 해석을 합니다.
대운과 세운이 팔자의 어느 자리를 충하는지 충을 당하는 육친이 무엇인지를 잘 살펴서 감명하시기 바랍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간지론강의(고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강. 쌍둥이 사주와 지리학 (0) | 2016.12.12 |
---|---|
6강. 래정법(來情法)과 운명(運命) 개선법(改善法) (0) | 2016.12.10 |
4강. 배우자와 자녀 인연법 (0) | 2016.12.06 |
3강. 직업과 전공 (0) | 2016.12.03 |
2강. 성격(性格) (0) | 2016.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