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강. 쌍둥이 사주와 지리학
쌍둥이 사주는 명조를 동일하게 작성합니다.
태어난 년, 월, 일이 동일하고 시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동일한 명조로 작성합니다. 그러나 대운을 서로 다르게 작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첫째 사주는 일반 아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운을 작성합니다. 둘째 사주는 첫째 사주와 대운을 반대로 적용합니다. 다시 말하면 첫째 사주가 남자이고 대운이 순행이라고 하면 둘째가 남자여도 대운을 역행으로 해석을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첫째가 남자이고 대운이 순행이라고 하고 둘째가 여자라면 그대로 대운만 역행으로 하면되는 것입니다.
쌍둥이의 경우 운이 반대로 흐르기 때문에 운명도 반대인 경우가 많습니다. 한명은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다른 한명은 병약하고 한명이 장수하면 한명은 단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세쌍둥이 이상의 사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한 연구 결과가 없답니다.
다음은 명리 지리학에 대한 공부입니다.
사주를 분석하여 태어난 환경과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알아보는 것을 지리학이라고 하는데 먼저 육친으로 식상이 있습니다.
식상은 자신의 고향을 유추해 보는 방법으로 활용을 합니다. 고향이 어디인가를 유추해 볼 때 식상의 오행을 보고 판단을 한다는 것입니다.
육친으로 목이 식상일 경우 시골에서 자랐을 가능성이 크고 화가 식상일 경우에는 도심지나 번화가에서 자랐을 것이고 토의 경우는 평야지대나 평탄한 지역, 금은 금융기관이나 관공서, 공장가 주변, 수는 강이나 바닷가 주변 등으로 낮은 지대에서 자랐을 것이고 밤 생활에 적응을 잘 할 것으로 유추합니다.
식상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재능의 별이고 밥 먹고 사는 밥숟가락이요, 건강상태요, 수족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건강하게 밥은 먹고 살 정도는 되어야겠지요.
재산과 명예는 어느 정도 특정한 사람들이 가질 수 있는 것들이고 보통 일반사람
들은 그렇지가 못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일생동안 겨우 자기 집 하나도 장만하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입니다. 그런 팔자에게 무슨 재물복과 관운이 중요하겠습니까.
이번에는 삼합을 이용하여 전생에서 아랫사람과 윗사람의 관계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그 방법으로 방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시간의 흐름을 생각하십시오
시간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순환합니다. 3합에서 해묘미는 봄이고 인오술은 여름, 사유축은 가을, 신자진은 겨울을 뜻합니다. 그래서 해묘미, 인오술, 사유축, 신자진 순으로 순환합니다.
즉 인오술(여름) 삼합의 같은 띠끼리는 전생에 형제나 친척 또는 가족이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사유축(가을) 삼합의 띠들이 조상이 되는 것입니다. 뒤에 따라오는 해묘미(봄) 삼합의 띠들은 아랫사람이 되고 여름과 반대 기운인 겨울(신자진)은 적대관계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申,子,辰 삼합의 원숭이띠, 쥐띠, 용띠는 巳,酉,丑 뱀띠, 닭띠, 소띠와의 관계에서 전생에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관계 또는 조상과 자손의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그 기억이 남아 있어서 항상 나이에 관계없이 申,子,辰 띠들은 巳,酉,丑 띠들을 부려먹으려고 하고 巳,酉,丑 띠들은 申,子, 辰 띠들을 만나면 알아서 복종을 하게 된답니다.
그러므로 회사에서 부하직원을 뽑을 때 전생에 아랫사람이었던 띠를 뽑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런식으로 모든 띠를 삼합으로 분리하여 살펴볼 수가 있겠습니다.
방위는 해묘미는 동쪽, 인오술은 남쪽, 사유축은 서쪽, 신자진은 북쪽을 의미합니다. 명리학적으로 손님은 전생의 조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조상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위가 열려 있어야만 전생의 조상님들이 손님으로 들어올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申,子,辰 띠들의 전생의 조상은 亥,卯,未 띠입니다. 그렇다면 신자진 띠들이 조상과 통하는 방위는 해묘미 동쪽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동쪽에 사업장 출입문을 만들면 손님이 많이 찾아 온다고 합니다.
사업은 업종을 잘 고르는 것이 33% 성공률이고 대운의 영향이 33% 성공률이고 출입문 방위가 33% 성공률입니다.
대운은 어찌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업종과 출입문 방위는 간지론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충분히 바꿀 수 있습니다. 무슨말이냐면 최소한 망하는 장사는 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남자와 여자관계에서 남자가 전생에 상전이었다면 그나마 여자는 참으면서 살아가지만 여자가 전생에 상전이고 남자가 아랫사람이었다면 남자는 끈기가 없어서 잘해 주다가 싫증을 내고 맙니다. 이런관계라면 이혼할 수 있는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남자가 소띠이고 여자가 쥐띠라면 공주님과 머슴의 관계처럼 여자는 받기만을 원하면서 만족을 못할것이고 남자는 급한 성격에 참지 못하고 도망을 하거나 사고를 칠 것입니다.
다음시간에 궁합에서 다시한번 설명을 하겠습니다.
명리학은 80%내지 90% 정도의 확률이라고 하니까 항상 예외는 있다라는 사실을 참고하시면서 감명하시기 바랍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간지론강의(고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강. 공망과 사주분석의 연구 (0) | 2016.12.19 |
---|---|
8강. 궁합(宮合) (0) | 2016.12.15 |
6강. 래정법(來情法)과 운명(運命) 개선법(改善法) (0) | 2016.12.10 |
5강. 대운과 세운 해석 (0) | 2016.12.08 |
4강. 배우자와 자녀 인연법 (0) | 2016.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