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야기

자아 실현을 위한 글쓰기

우인의 굴렁쇠 2017. 6. 4. 16:20

자아 실현을 위한 글쓰기

1. 글쓰기의 시작
내가 학기 초에 “나와 세상을 위한 글쓰기”를 선택한 이유는 공부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강의를 들으면서 마음에 부담이 생겼다. 글쓰기의 형식과 내용 그리고 창작을 직접 해야만 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부담이 많은 만큼 지식의 습득도 많았다.
5단락 형식과 고쳐 쓰기의 필요성을 직접 느끼게 되었다. 무엇보다 자신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가장 행복 하였던 순간과 슬펐던 기억을 글쓰기로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은 정말 의미가 있었다. 그동안 왜 중요한 일들을 글로 남기지 않았는지 모르겠다. 이제부터 글을 쓰는 습관을 가져야겠다.

2. 노력이 운명을 바꾼다.
2001. 1월 어느 시험에서 수석 합격을 하였다. 그때부터 나의 인생에 많은 변화가 찾아왔다. 우선 생각이 바뀌게 되었다. 나는 공부를 좋아했던 사람이 아니었다. 공부는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하던 것이었다. 그래서 성적이 그다지 좋지 못했다.
공부를 잘하는 사람은 특별한 사람으로 생각했고 나는 너무 평범했기 때문에 공부가 맞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노력의 결과, 약 1,500명이 응시한 시험에서 수석 합격을 하게 되었다. 그 이후로 세상의 모든 일은 노력을 한다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노력은 운명을 바꾼다.

3. 어느 약속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 누님과 어떤 약속을 하셨다. 홀로 남게 되는 어머니를 딸에게 부탁한 것이다. 두 분의 대화를 우연한 기회에 듣게 되었다. “자현아, 나는 이제 얼마 살지 못한다. 너희 엄마가 걱정돼. 그래서 너에게 부탁할게 있다. 내가 그동안 모아둔 돈을 네게 줄 테니까 두 달에 한 번씩 엄마를 찾아뵙고 잘 돌봐 드려라. 약속할 수 있겠지. 꼭 약속 지켜야 된다.”
그 날, 내가 들었던 대화의 내용이다. 나는 아들이 있는데 왜 딸과 그런 약속을 하셨는지 한동안 이해하지 못했다. 그 날의 기억은 오랫동안 나를 슬프게 하였다. 하지만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누님이 어머니를 열심히 보필하는 것을 보았고, 나는 아버지와 누님의 약속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4. 기초부터 합평까지
작가의 글과 학우들의 글은 분명히 차이가 있었다. 따지고 보면 모두 열정을 쏟은 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이가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능력에서 오는 차이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경험의 차이가 크다고 생각한다. 만약 나와 세상을 위한 글쓰기 공부를 일찍부터 하였더라면 서로의 간격을 어느 정도까지는 좁힐 수 있었을 것이다.
나는 이번 글쓰기 공부를 통해서 글쓰기의 기초와 합평까지 어느 정도의 지식을 터득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새로운 과제가 생겼다. 그 동안 무관심했던 독서와 글쓰기를 생활화 하는 것이다. 물론 새로운 변화는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글쓰기 공부에 대해서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실천할 수 있다고 믿는다.

5. 글쓰기는 삶의 활력소가 될 수 있다.
사람은 항상 자신의 생계를 위해서 경제활동에 집중한다. 그래서 누구나 바쁜 삶을 살아간다. 뒤돌아볼 여유가 없는 것이다. 학교를 졸업하게 되면 글쓰기 공부는 끝이다. 그리고 정서는 다시 메마른다. 그러나 인생은 결코 짧지 않고, 다시 책을 읽고 글을 쓰기에는 충분한 시간이 있다.
직업과 무관한 글을 쓰기는 어렵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글쓰기 공부에 대한 무관심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에게 글쓰기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흥미를 느끼게 된다면 정서가 메마른 현실에서 글쓰기는 삶의 활력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에게 나와 세상을 위한 글쓰기 강의를 권장하고 싶다.

습작노트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과제를 마무리 하였습니다. 스스로 열정을 쏟았지만 어쩐지 자신 없는 부분도 있다는 걸 느낍니다. 하지만 끝까지 나와 세상을 위한 글쓰기 공부를 마무리했다는 점에서 큰 자부심을 느낍니다.

'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움 받을 용기?  (0) 2017.08.02
가족여행  (0) 2017.07.10
새날.  (0) 2017.02.10
"새해에는"  (0) 2016.10.19
2016년 9월 17일 오후 02:33  (0) 2016.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