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강. 지장간(支藏干) 7강. 지장간(支藏干) 지장간은 지지속에 숨겨진 천간으로 지지가 합에 의하여 성질이 변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고 지장간 자체로 해석을 하여 사주에는 보이지 않지만 있는 육친으로 판단을 합니다. 지장간의 변화와 진술축미의 입묘작용은 반드시 숙지를 해야 사주를 정확하게 감명.. 간지론강의(중급) 2016.11.18
6강, 육친론(六親論) 6강. 육친론(六親論) 육친의 확장과 변용이란 육친을 인간관계에서 다른 물상이나 학문등으로 확장하고 시기에 따라서 해당 육친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말합니다. 육친론에서 주의할 점은 육친의 상생과 상극의 관계에 빠지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 간지론강의(중급) 2016.11.17
5강. 근묘화실(根苗花實) 5. 근묘화실(根苗花實) 근묘화실은 인생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으며 사주팔자를 쉽고 빠르게 간명할 수 있는 정말 중요한 관법입니다. 근묘화실은 암기보다는 이해를 해야하는데 운동성과 극을 당하는 육친의 상태를 생각하면서 공부하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 근묘화실(根苗花實)의 이.. 간지론강의(중급) 2016.11.12
4강. 사주에 많은 오행과 육친 4. 사주에 많은 오행과 육친 첫 번째 사주감명 방법이 음양오행이라고 하였습니다. 사주팔자를 적은 후에 없는 오행과 많은 오행으로 분류를 해서 없는 글자의 해석과 많은 글자의 해석을 그대로 설명하면 되는데 많은 오행의 경우에는 반대편에서 극을 당하는 오행이나 육친을 살펴서 .. 간지론강의(중급) 2016.11.10
3강. 사주에 없는 오행과 육친 3강. 사주에 없는 오행과 육친 사주를 감명하는 첫 번째 방법은 오행입니다. 오행으로 사주를 분석할 때는 먼저 없는 오행부터 분석하고 그리고 없는 육친에 대하여 분석을 합니다. 왜냐하면 없음으로 인하여 어떤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문제점들을 먼저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오.. 간지론강의(중급) 2016.10.29
2강. 당사주(唐四柱) 2강. 당사주(唐四柱) 당사주는 생년, 월, 일, 시 4개의 기둥에서 4개의 별자리를 뽑아 초년, 중년, 말년,평생으로 분류하여 감명합니다. 당사주에서 천간성과 천인성 그리고 천파성 등은 작용력이 크므로 숙지할 필요성이 있고 나머지 부분들은 참고하는 정도입니다. 특히 천간성은 부부 궁.. 간지론강의(중급) 2016.10.26
1강. 사주분석방법 1강. 사주분석방법 이제 사주풀이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주분석방법이란 사주를 보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는데 무엇을 사용하여 사주를 볼 것인가를 결정 짓는 아주 중요한 수단을 말합니다. 사주를 보는 방법은 음양오행, 육친, 근묘화실, 12운성, 격용론, 신살론 등 다.. 간지론강의(중급) 2016.10.25
12강. 사주학의 기본기들 12. 사주학의 기본기들 사주학을 공부하면서 알아두면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물론 만세력을 이용하면 편리하겠지만 24절기의 경우 절기 절입시각 이전과 이후에 따라서 팔자나 운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고 12지지 동물에 대한 분석은 반복해서 읽어.. 간지론강의(기초) 2016.10.19
"새해에는" 새해에는 다시, 나이를 더한다. 마누라의 잔소리는 심화되고, 자식들은 자유를 찾아 떠나간다. 고독이 밀려올 때면, 익숙해야 된다고, 내 마음 달래 보지만, 아, 인생이여. 새해에는, 가슴 설레는 일이 생겼으면 좋겠다. 꿈이 현실화 되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꼬옥. 내 이야기 2016.10.19
11강.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11.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사주팔자를 작성하는 방법을 사주정립법이라고 합니다. 즉 생년, 월, 일, 시의 간지를 정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사주는 4개의 기둥으로 구성이 되고 각 기둥에 두 글자씩을 만들어 여덟 글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팔자라고 합니다. 사주정립법은 만세력을 이용하.. 간지론강의(기초) 2016.10.17